2009년 12월 15일 화요일

줄기세포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줄기세포(MSC or  신경줄기세포)를 혈관주사하면, 이것이 신경세포로 될까? 아니면 , 기존의 신경세포를
더 활성화 시키는 것일까?
이런 질문들이 있어 왔지요.

답은 , 아주 일부(약 6% 정도)는  신경세포가 되지만 ,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정도의 양은 아니었다고 하며,
그보다는 기존의 신경세포의 연결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하는군요.

당뇨치료에서도, 심근경색치료에서도,지방이식에서도, 줄기세포가 직접 그 부분의 새로운 세포로 전환되어서 발생하는 질병호전 효과보다는 , 원래 있던 세포를 더 활성화시켜서 발생하는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짐작할 수 있겠네요.
------------------------------------------------------------------------------------------------

신경줄기세포를 이용 최초로 진행된알즈하이머질환을 앓는 쥐에서 기억력을 회복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화제가 되고 있다.

23일 UCI Memory Impairments & Neurological Disorders 연구소 연구팀이 '미국립과학원보'에 밝힌 이 같은 연구결과 미국내에서만 약 530만명이 앓고 있는 노년층에서 치매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결과 뇌 속 신경줄기세포가 이식된 후 알즈하이머질환이 발병한 쥐들이 한 달 후 기억력 검사상 기억력이 크게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이 같은 줄기세포들이 더 많은 신경 연결을 생성하는 단백질을 분비 인지능이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알즈하이머질환에 특징적인 표지자인 뇌 속 플라크와 신경엉킴이라는 병변이 발병할 위험이 높은 고령 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결과 줄기세포중 단 6%만이 신경세포로 전환됐으며 줄기세포가 새로운 신경세포가 돼 인지능을 향상시키지 않았으며 또한 플라크나 신경엉킴의 수 역시 줄이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줄기세포는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라는 단백질을 분비 기존 조직들이 새로운 신경돌기를 생성하게 해 신경세포간 연결을 강화하고 연결의 수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줄기세포로 부터 이 같은 BDNF 를 선택적으로 줄인 결과 이 같은 이로움이 사라져 BDNF가 기억력과 신경기능에 대한 줄기세포의 기능에 있어서 결정적인 인자임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알즈하이머 질환의 경우 플라크나 신경엉킴 보다는 신경연결 소실이 치매 증상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인 바 신경줄기세포가 뇌가 새로운 신경연결을 가지게 해 치매를 회복시킬 수 있을 것이다"라고 기대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