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의 경우, 전이가 잘 됩니다.
전신의 혈액을 타고 암세포가 돌아다니지요.
이 암세포중에 특히 암 줄기세포가 많이 있다면?
암 줄기세포로 실험을 한 결과, 기존의 항암제, 호르몬요법, 항체요법에 모두
반응을 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유방암 뿐 아니라, 암의 사망률이 높은 것은, 이렇게 약제에 반응을 하지 않는
암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약들이 반응을 안하는 중요한 이유중 하나가 암도 암줄기세포라는 것을 가지고 있으며
이 암줄기세포가 항암제에 듣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은,
앞으로 약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해 줍니다.
이 암줄기세포를 죽이지 않으면 암치료가 성공하지 못한다는 것이지요.
이 암줄기세포를 죽이는 것은 NKcell일 수도 있고,
아직 알지 못하는, 그 어떤 인자에 의해 암줄기세포가 빠르게 분화하고
노화하여 apoptosis를 일으켜 버리는 방법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암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약을 개발할 수 있다면, 대박나겠네요.
부작용으로, 정상세포들까지 분화해 버리면? 노화가 진행이 되겠지요 .
다음 연구 결과를 보세요.
The researchers were testing the theory that cancer cells circulating in the bloodstream may be linked with the stem cell like tumor cells that are thought to be the active source of metastatic spread from primary tumors. They were also testing the theory that these cells may undergo physical or biochemical changes which allow these cells to travel and metastize without getting affected by conventional cancer therapies.
The researchers tested blood samples from patients with metastatic breast cancer who were receiving palliative chemotherapy, antibody or hormonal therapy. Using the Company's AdnaTest™ EMT1/StemCell product, they looked for the presence of four different EMT and stem cell biomarkers and compared these findings with the presence of circulating tumor cells and the response to therapy. The results showed that a major proportion of the circulating cancerous tumor cells in these patients had the expected biomarkers and tumor stem cell characteristics.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concluded that the detection of these biomarkers in circulating tumor cells could be used to better diagnose patient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r the potential risk of resistance to prescribed treatments sooner.
출처: medicalnewstoday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