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walgreens.com/library/graphics/images/en/7166.jpg
이 비중격 교정술이 무엇이고 왜 해야 할까요? 안하면 안 될까요?
사실, 코막힌 게 아주 심하지 않으면 수술이라는 고통을 견디고 싶어 하지 않는게 사람의 심정이지요.
즉, 이 수술은 생명에 지장이 있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오직 본인이 얼마나 힘드냐에 따라 수술여부가 결정이 됩니다.
아무리 코가 많이 막혀도 그냥 그대로 살고 싶으면 그래도 됩니다.
다시말해서, 비중격 교정술은 다른말로 비중격성형술입니다.
즉,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 더 나은 삶을 위해 , 투자를 하는 것이지요.
그럼, 비중격성형술의 과정을 알아볼까요?
대학병원급을 기준으로 말씀드립니다. 개인의원에서는 입원하지 않고 수술을 합니다.
대학병원에서는 입원하면 우선 콧털을 깎습니다. 이유는 수술에 방해가 되며 감염위험도 있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항생제를 맞고 잡니다.
전신마취를 하기도 하고 국소마취를 하기도 합니다. 이것은 미리 입원전에
결정을 하여야 합니다. 대개는 국소마취로 해결이 되나 아주 심한 경우에는 전신마취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수술방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봅시다.
코안을 마취솜등으로 마취한 후 코안 점막을 칼로 쨉니다.
그리고 점막을 들어올리고 휘어진 연골과 뼈에 칼집을 내기도 하고 일부 잘라 내기도 해서
콧기둥이 반듯하게 가운데로 오게 합니다.
비중격수술 이외에 하비갑개라고 비중격양쪽에 있는 살덩어리가 있습니다.
한쪽으로 코뼈가 휘면 보상적으로 반대쪽 넓은 쪽 코 공간으로 하비갑개가 두꺼워져서
양쪽 비강 면적을 비슷하게 맞추려고 합니다. 이것이 우리몸의 신비중 하나이지요.
그런데 비중격이 가운데로 오게 되면 무슨일이 벌어질까요?
오히려 넓었던쪽이 두꺼워져 있는 하비갑개 살덩이 때문에 더 좁아지겠지요.
그래서 이곳 하비갑개 살덩이를 줄여주는 수술도 같이 하게 됩니다.
코블레이터라고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바로 그런 기구들을 이곳에 쓰게 되지요.
http://www.entsurgery.com.sg/Special/sutter%20turbinate.JPG
그리고 필요한 곳에 실로 꼬매기도 한 후
짼곳을 꼬매고 코안을 지혈솜으로 꽉 막으면 수술이 끝납니다.
쉽지요? ^^* 과정을 잠시 동영상으로 볼까요? 패스해도 됩니다.
수술을 마치면 수술 당일과 그 다음날은 코안을 꽉 막아 놓게 됩니다.
그러면 첫날은 아프다가 둘째날 부터는 아프지는 않고 자꾸 재치기가 납니다.
그러면서 입은 계속 마르지요.
사실, 수술받은 것은 견딜만한데 이 수술후에 코막고 있는 것이 더 힘듭니다.
이런걸 코에 넣고 있어야 합니다.

http://www.alibaba.com/product-free/103404448/Merocel_Standard_Dressing.html
그렇게 곰이 동굴에서 마늘먹는 기분으로 이틀을 보내고 나면 셋째날 아침에
드디어 코에 넣은 것을 빼 줍니다.
이거 뺄때도 꽤 아파서 보통 진통제를 맞고 하지요.
요즘은 그래서 공기를 넣어서 부풀리는 기구로 코안을 막아 두었다가
뺄때 공기를 일단 뺀 후에 제거를 하므로 훨씬 편안하게 뺄 수 있습니다.

http://www.arthrocareent.com/images/right_col/rapid_7.5.jpg
드디어 코안에 있는 것을 제거하면 코가 뻥 뚫리고 아주 좋습니다만,
하루 지나면 다시 딱지가 끼고 부어서 막힙니다.
그래서 코를 세척을 하게 되는데요.
식염수로 하루 2번, 한번에 약 200cc정도씩 하면 됩니다.
코를 세척하는 방법은 전세계에 제품을 수많은 종류가 나와있지만 집에서
물 1L에 굵은 소금 1스푼을 넣어서 미지근하게 데워서 집에 있는 작은 주전자등을 해도 됩니다.
다만, 위생에 주의해야 하며 , 한번 사용한 것은 반드시 깨끗이 씻어서 건조해 두어야 합니다.
다음 동영상을 참고하여 집에서 직접하시면 됩니다.
감기, 알레르기, 비중격수술후, 축농증 증상에 모두 코세척이 효과가 있답니다.
귀여운 여자아이가 코가 정말 시원해 보이지요?
이렇게 열심히 세척을 하면 약 2주가 지나면 코가 거의 다 회복이 되고
한달쯤 지나면 예전과 달리 뻥 뚫긴 코를 느끼게 됩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