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명을 이해하는데 한가지 Tip을 드리면 증후군이라는 말이 붙은 것은 아직 의사들이 잘 모르는 병이라는 뜻입니다.
이런 저런 원인들 갖다 붙이는 것은 원인을 잘 모른다는 뜻이라고 이해 하시면 됩니다.
핀란드 성인의 15%, 스웨덴의 3.7%가 이병이 있다고 하는데 국내에서는 약 0.7~15%로 추정됩니다.
특히, 중년 여성에서 많다고 알려져 있으며,대개 40대 이후에 생기고 환자의 79.2%가 여자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통증은 주로 밤에는 없으나, 오전에 시작되어, 점점 심해져서 늦은 오후나 초저녁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개 이 병원 저 병원 다녀보지만 정상이라는 말을 많이 들으며 혹시 암은 아닌가 하는 두려움에 빠지기도 하지요.
원인은 원인은 정신적인 요인, 호르몬변화 구강건조증, 감각이상 등으로
정신적인 요인으로 과도한 스트레스, 불안장애, 우울증이 있으며 여성 호르몬이 저하된 사람에게서 많이 생기나
인과관계가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여성호르몬 대체투여요법에서는 별 효과가 없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구강건조증의 원인으로 침분비 장애가 있으며 쉐그렌 증후군 등 자가면역질환이 원일 수 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면역치료를 해야 합니다.
비타민 결핍이나 당뇨병이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논란이 있고 고혈압약중 ACE inhibitor가 원인으로 복용을 중단하면
호전된다는 보고가 있어서 혈압약을 먹는 사람은 약을 바꿔볼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 나이가 들면서 혀로 가는 신경중에 맛을 느끼는 신경과 아픔을 느끼는 신경이 염증으로 일부 손상되어
자꾸 아프게 느끼게 된다는 주장도 있지요.
이런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생기는 구강내 작열감, 아픈 증상을 어떻게 치료할까요?
사실 외국에서는 다양한 치료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인공침이나 침을 나오게 하는 약등
고식적이고 증상에 대한 치료만을 하는 수준입니다.
아직 논문으로 발표하지는 않았으나 제가 자주 하는 치료법을 소개해 드립니다.
근거는 노화로 인해 입으로 가는 신경이 염증으로 인한 손상을 받아서 이것을 스테로이드로 치료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근거참고 논문 :
1.Bartoshuk LM, Duffy VB, Miller IJ. PTC/PROP tasting, anatomy,
psychophysics, and sex effects. Physiol Behav 1994;56:1165-71.
2.Yanagisawa L, Bartoshuk LM, Catalanotto FA, Karrer TA, Kventon
JF. Anesthesia of the chorda tympani nerve and taste phantoms.
Physiol Behav 1998;63:329-35.
3.Whitehead MC, Beeman CS, Kinsella BA. Distribution of taste and
general sensory nerve endings in fungiform papillae of the hamster.
Am J Anat 1985;173:185-201.)
구강내에 제가 조합한 스테로이드를 적절히 주사하면 할머니 환자의 80%가 의미있는 호전을 보이고
심지어 노인정에서 소문을 내서 어느병원 가면 입에 주사를 놔준다고 해서 다른 할머니가
찾아온 적도 있네요. ^^*
구강내 작열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추정원인들을 살펴보고 단지 노화에의해서 생기는 것이라고
판단되면 지금으로써는 제가하는 이 치료법이 최선입니다.
앞으로 줄기세포치료제가 주사형태로 보급되면 보다 근본적인치료가 가능해 질것으로 보아
줄기세포연구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시 임상 적용 가능한
최신 줄기세포 기술들이 있으면 참여하여 연구결과를 올려드리겠습니다.
* 참고 논문:Korean J Otolaryngol 2004;47:569-74
*사진 소스: http://flickr.com/photos/raggioblu/, http://flickr.com/photos/arkworld/
Buring mouth syndrome 2007 09 04
http://www.youtube.com/user/uabhealth
동영상의 여성처럼 저 정도 나이때부터 시작이 됩니다. 치료할 수 있으니까 걱정마세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